2030세대, 소형 주택 셀프 리모델링 프로젝트

2030 소형 주택 셀프 리모델링② – 시공 전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들

waymyblog 2025. 11. 1. 17:50

셀프 리모델링을 시작하려는 많은 사람들이 자재와 도구를 구매하는 데서부터 막막함을 느낀다. 인터넷 검색만으로는 어떤 공구가 꼭 필요한지, 또 어떤 단계에서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이해하기 어렵다. 무작정 자재부터 구매하면 예산은 예산대로 낭비되고, 시공 과정에서 중복 구매나 불필요한 공정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셀프 리모델링에 들어가기 전에는 공구 준비, 자재 선택, 안전 장비 챙기기, 작업 순서 계획까지 미리 세워두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 글에서는 실제 셀프 리모델링 경험을 기반으로, 초보자도 그대로 따라할 수 있는 준비 단계 체크리스트와 실전 노하우를 정리했다.


2030 소형 주택 셀프 리모델링② – 시공 전 반드시 준비해야 할 것들

 

1. 공구 준비: 최소한 이것만 있어도 시작할 수 있다

리모델링에서 사용하는 공구는 많지만, 초보자가 처음부터 모든 공구를 살 필요는 없다.
아래의 핵심 공구 6가지만 준비해도 대부분의 기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공구역할구매 팁
전동 드릴 나사 조임, 구멍 뚫기 배터리 2개 포함된 모델 추천
수평기 가구, 선반 설치 시 수평 맞춤 레이저형이면 작업 속도 향상
실리콘건 실리콘 마감 작업 손잡이 부드러운 제품 추천
롤러/붓 세트 페인트 도장 작은 붓은 모서리 작업에 필수
커터칼 & 헤라 벽지 제거 및 표면 정리 날이 잘 드는 제품 선택
보호장갑 & 보안경 안전 장비 고무 코팅 장갑이 미끄럼 방지에 유리

중요 포인트:
전동 드릴은 절대 최저가로 사지 않는 것이 좋다.
성능이 낮은 드릴은 나사 머리를 뭉개거나 작업을 두 배로 힘들게 만든다.


2. 자재 선택: 예산과 내구성의 균형이 중요하다

셀프 리모델링은 직접 손으로 만지기 때문에 자재 선택의 영향이 매우 크다.
특히 페인트, 실리콘, 마감재는 가격 차이가 결과의 질을 크게 바꾼다.

✅ 페인트 선택 팁

  • 수성 페인트는 냄새가 적고 초보자도 다루기 쉽다.
  • “무광”은 얼룩이 잘 남고, “유광”은 반사율이 높다.
    반무광(세미매트) 가 가장 안정적이다.

✅ 실리콘 선택 팁

  • 곰팡이 방지 기능 있는 실리콘 선택 필수.
  • 색상은 백색 또는 투명 추천.

✅ 조명 자재 팁

  • 3,000K ~ 4,000K 색온도는 눈의 피로도가 적고 안정적 분위기 연출 가능.
  • 한 공간에 서로 다른 색온도의 조명을 섞지 않는 것이 좋다.

3. 공사 전 체크리스트 (현장에서 직접 확인해야 할 것)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 집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은 필수다.
아래 항목들은 공사 난이도를 크게 좌우한다.

체크 항목상세 설명
벽 상태 확인 곰팡이, 누수 흔적, 들뜬 벽지 있는지 확인
바닥 수평 확인 물 수평기 또는 스마트폰 수평 앱 사용
전기 콘센트 위치 전동 공구 사용 및 조명 교체 시 필요
수도/배수 상태 물 흐름, 냄새 유무, 역류 가능성 점검
환기 가능 여부 페인트 도장 시 창문 위치 중요

팁:
스마트폰 기본 앱 중 수평계 기능이 내장된 경우가 많으니 활용하는 것이 좋다.


4. 시간 계획 세우기 (가장 많이 실패하는 부분)

셀프 리모델링은 체력과 시간 관리가 핵심이다.
적당한 시간 계획 없이 시작하면 힘만 들고 결과는 어설퍼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작업 순서 예시

  1. 철거 →
  2. 벽면/바닥 정리 →
  3. 페인트 도장 →
  4. 조명 설치 →
  5. 가구 설치 및 마감

작업 일정 예시 (주 5일 직장인 기준)

기간작업 내용
1주차 철거 + 벽/바닥 정리
2주차 페인트 도장 & 건조
3주차 조명/수납 설치 + 마감

중요:
페인트는 건조 시간이 핵심이다.
급하게 2~3회 덧칠하면 얼룩 생기고 질감이 망가진다.


5. 예산 초과를 막는 실전 팁

  • 자재는 필요할 때 그때 구매하는 것이 낭비를 줄인다.
  • 철거와 쓰레기 처리비는 꼭 사전에 견적 확인해야 한다.
  • 예산의 10~15%는 예비비로 남겨두는 것이 안전하다.

🍩 결론 (강조)

셀프 리모델링은 준비 과정이 반 이상이다.
공구, 자재, 작업 동선, 시간 계획이 단단하게 잡히면 시공은 훨씬 수월해진다.
무작정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준비 → 점검 → 실행”**의 체계적 접근이
리모델링의 완성도를 결정한다.


🔍 SEO 키워드

  • 셀프 리모델링 준비물
  • 소형 주택 셀프 인테리어
  • 셀프 리모델링 체크리스트
  • 인테리어 도구 추천
  • 2030 셀프 주택 개조

📎 다음 편 예고

👉 3편. 철거부터 페인트까지: 실제 시공 과정 자세히 공개